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변별적 자질의 정의
    한국어 음운론 2020. 6. 18. 16:57
    반응형

    **출처 : 이 과목(본 카테고리)의 모든 내용은 안연희교수님의 강의 내용과 교안의 내용을 필사 혹은 재구성한 것임을 알립니다**

     

     

    1. 변별적 자질 distinctive feature의 의미

     

    #생성음운론 : 모든 언어에 나타나는 모든 음들의 공통적인 특성(변벌 자질)을 뽑아

    풀pool을 만들면 모든 음을 설명할 수 있는 일정한 제한된 수의 특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한 것이다.

    => 공통적인 특성 : 변별 자질

     

    :어떤 언어이든지 간에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고 본다. ->인간 보편적 음운의 특성
    변별 자질로 모든 언어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개별적인 것이 아닌 일반적인 것을 논하고자 한다. 

     

    #자질 feature

    • 말소리를 이루고 있는 하위 성질 혹은 속성 

      속성? - 그 소리를 다른 소리와 구별되도록 하는 요소
      예) /ㅂ/의 속성 [두 입술, 파열, 평음, 무성음]


    • 하나의 소리는 둘 이상의 속성의 집합으로 이뤄진다.
    • 각각의 속성은 다른 소리와 구별되도록 하는 요소가 된다.

    #변별distinctive   - 구별, 가림

    변별? 사물의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가린다.

     

    변별적? 개별 음소들을 서로 구별하게 한다는 의미다.

     

     

    #변별적 자질 distinctive featured의 의미

    • 음소를 구성하는 음성적 특징을 바탕으로 음소를 더 작게 쪼개어 표시한 단위다.
      소리를 쪼개는 것이 아니라 속성을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발음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조음 위치, 조음 방법, 유/무성음적 속성- 자음구별속성 
    • 혀의 위치, 입술의 모양- 모음 구별 속성
    • 음의 길이 -운소의 속성
    • 음소의 변별과 직접적 관계를 맺는 음성적 특징
    • 의미 분화를 가져오는 음성적 요소 = 변별적 자질이다.

     

    음소 : 최소의 유의미 단위

     

    음소: 변별적 자질의 묶음

     

     

     

     

     

     

     

     

     

    #음소와 자질

    • 음소: 구조주의 음운론의 관점에서 최소의 음운 단위
    • 자질: 생성음운론의 관점에서 음운 기술의 최소 단위

     

    #변별적 자질의 표시

     

    • +/- 로 표시
    • []로 표시 -꺽쇠괄호
    • [-자음성],[+성절성]
      혀의 높음 혀의 낮음 혀의 앞뒤 위치 입술
    -고음성 +저음성 +후설성 -원순성
    +고음성 -저음성 -후설성 -원순성

     

    #변별(적) 자질과 잉여 자질

    • 변별 자질: 예측 불가능한 자질
    • 잉여 자질 redundant feature (없어도 됨) :예측 가능한 자질

    비음과 공명성

    공명음: 울리는 음 =[+공명성]

     

    /ㅁ/: [+자음성][+공명성][+비음성]

     

    [+비음성]의 자음은 모두 [+공명성] 자질을 갖는다. 

    [+비음성]으로 [+공명성] 예측 가능

    고로,  [+공명성]은 잉여 자질

     

    ->범 언어적 관점에서

    [+자음성][+비음성] : 예측 불가능하므로 변별(적)자질이다. 

     

     

     

    한국어 VS 영어 유/ 무성음

     

    #한국어

    /ㅂ/:

    바다 [p]

    아버지 [b] 

    -환경에 따라 [p],[b] 예측 가능하다 (=잉여자질)

    장애음의 [+유성성]은 잉여 자질

     

     

    #영어

    pan, ban -> p:b 환경에 따라 p,b예측 불가

    장애음의 [+유성성]은 변별 자질

     

     

    학습자의 모국어에서 변별 자질이었던 것이 한국어에서는 잉여자질로 나타날 수 있다.

     

    변별자질, 잉여자질은 언어에 따라 다르다.

    • 한국어: 장애음의 [+유성성]은 잉여 자질 
      :심리적으로 구별하지 못한다.
      :장애음의 유성적 자질은 비변별적 요소
    • 영어: 장애음의 [+유성성]은 변별 자질 
      :화자가 구별할 수 있다!
      : 장애음의 유성적 자질은 변별적 요소이다.

     

     

     

     

     

     

     

     

     

    #정도 자질

    • 정도의 차이로서 소리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 울림도, 열림도, 강도등이 있다.
    • 음운 변동현상을 설명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 비음동화, 유음화, 축약 등

     

    열림도 규칙

    CC의 상황에서...

    앞 자음의 열림도는 >= 뒤 자음의 열림도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예) /밥물/ = [밤물]

     

    ㅂ과 ㅁ이 = CC가 인접한 상황

     

    열림도 1도 /ㅂ/ 3도/ㅁ/
    말소리 파열음 비음

    앞 자음의 열림도(1도)가 뒤 자음의 열림도 (3도)보다 작으므로 발음이 불가능하다.

    같은 조음위치의 3도 이상의 소리로 바꿔줘야 함 -> 음운변동

     

    2. 변별적 자질의 특성

     

    #음소의 구분 

    • 변별: 개별 음소들을 서로 변별시켜 준다는 의미다.
    • 변이음 구분에만 필요한 자질 설정은 안 된다.
    • 변별적 자질의 차이가 없는 음 - 음소적 대립이 없다.

      예) /ㅂ/ 어두- 무성 파열음, 어말- 미파음이 된다. 무성 파열음, 유성음, 미파음인 상황은 /ㅂ/이라는 소리로 인식하고 서로 다른 소리로 인식하지 않는다. 변이음일 뿐, 음소로 구분하지는 않는다.

     

    #이분법적 특징

    • + / -로만 표시
    • + : 그런 특징이 있다.
    • - : 그런 특징이 없다 , +와 반대의 특징이 있다.

    i.e [-비음성]

    - 공기가 비강으로 흐르지 않는 특성, 

    (반대의 특징) -공기가 구강으로 흐르는 특성

     

    [-지속성]

    -공기의 흐름이 지속되지 않는 특성

    (반대의 특징)-공기의 흐름이 단절되는 특성

     

     

    #구조주의 음운론 VS 생성음운론

     

    +구조주의 음운론

    : 말소리의 소리값을 규명

    :음운의 대립 관계와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조음 위치와 방법 등을 관찰

    :해당언어의 음소 목록 작성과 음운 체계 수립을 우선시 했다.

     

    +생성음운론
    :자질을 음운론의 기본 단위로 보고 음운의 체계와 변동 등을 자질의 차원에서 설명하고자 했다.

    :범언어적인 변별 자질을 바탕으로 개별 언어 특유의 자질 목록 확인을 우선시 한다.

     

     

     

     

    변별적 자질의 장점

    #음소 간 관계 파악 (표기의 경제성)

     

    • 변별적 자질 - 음성적 특성에 기반을 둔다.
    • 자연 부류의 음소들을 묶는 기준을 찾을 수 있다.
    • 자연부류 natural class :음운론적 성질이 비슷한 음소들의 묶음

    변별적 자질은

    의미 분화를 가져오는 음성적 요소로

    모든 언어의 모든 음들의 공통적 특성을 찾아 모든 음을 설명하고자 한

    생성음운론의 설명 기제이다.

    예측이 가능한 자질인 잉여 자질과 구분된다.

     

    한국어에서 장애음의 [유성성]은 환경에 따라 나타나는 음성적 속성(변이음)이므로 예측이 가능한 잉여 자질이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