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방언학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2020. 3. 2. 17:36반응형
1. 방언의 가치
- 다양성을 확인시켜주는 훌륭한 언어자료
- 국어 역사 연구에 도움을 줌
- 표준어 제정의 자료
- 문학에서는 향토성과 토속성을 살리는 역할을 함
2. 방언의 종류
지역 방언: 한 언어가 지역적으로 오랜 시간 격리되어 있음에 따라 달라진 말
사회 방언: 연령, 성별, 사회 집단
3. 방언지도 :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된 방언 자료를 정리하여 각 분화형들을 목록으로 작성,
조사지역의 지도 위에 특수한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한 지도
- 등어선: 언어적 차이를 나타내는 방언의 지리적 경계선
등어선에 따라 방언구획이 달라질 수 있다. - 개신파: 언어의 변화가 지리적 어떤 중심에서 주변 이역으로 ~~~물결치듯 퍼져가는 현상
구개음화 - 굳이[구지] 가디마 ->가지마 - 초점지역: 언어변화의 출발지점으로 여러 등어선에 둘러싸인 중심지역
2. 지역 방언의 특성(1)
1. 경상방언의 특징
1. 6모음 체계 (ㅣ, ㅔ/ㅐ, ㅡ/ㅓ, ㅜ, ㅗ, ㅏ)
- ㅐ : ㅔ
- ㅓ: ㅡ - 하널( 하늘), 헉( 흙), 서윗해 (스윗해)
- ㅅ : ㅆ - 살(쌀), 스다(쓰다)
2. 'ㅏ'계와 'ㅗ'계의 의문형 종결어미 (-가/고, -나/-노)
설명의문문- '고?' '노?'ex) 니 핵교 가나? / 누가,언제 학교갔노?
가가 가가?니 어데 가노?
이기 뭐꼬?
3. -음니더'와 -심더(평서형)
-는교? (의문형)
-시이소(명령형)
-으입시더(청유형)
- 밥 무것심더
- 행님요, 오데 가능교?
- 아, 예예 그리하시이소.
- 자자 한잔 하입시더.
4. 단어
하모 물론 하매 이미 아래 엊그제 오매 어머니 억수로 아주 퍼뜩 빨리 얼라 애기 강새이 강아지 엔간이 어지간히 2. 전라방언의 특징
1. 문장 끝에 쓰여 친근함과 따스함을 주는 감탄사'잉'
2. 어미: -는데 -> -는디
- 승식이도 산에 가간디?
- 뭣이 중헌디
:-ㅇ깨, -ㅇ깨로
- 밥까지 해놨당께로
- 그게 고구매랑께
- 비쌍깨, 그랑깨, 간당깨로
:-지? -> 지야, -제
- 집에 갔다 오지야?
- 느그 집에는 이렁거 많다제?
3. 조사
:처럼, 만큼 -> 맹키
: 듯이 -> 데끼
- 니도 내 맹키로 키가 많이 커부렀구마잉
- 그 놈이 날 길 바닥의 돌 보데끼 쳐다보고 있더랑께
4. 단어
깜밥 누룽지 포도시 겨우 요로코롬 이렇게 뒤지다 죽다 쪼까 조금 껄쩍지근하다 꺼림칙하다 시퍼보다 우습게 보다 괴비 호주머니 오지다 흡족하다 겁나게, 허벌나게 매우 암시랑토 안혀 아무렇지도 않아 5. 표현
죄송해요 죄송혀라, 죄송시럽네잉, 미안하당게 , 아 죄송항 께 그려라 안녕하세요? 안녕하셨지라? 정말 고마워 검자게 고마고라잉 어디 아프세요? 어디 아프당가? 어디 아프시당가요? 어디가 아픈게라? 지역 방언의 특성(2)
충청방언 특징
1. 종결어미 '요' -> '유' : 종결어미는 주로 끝을 길게 늘임
예) 그리유~ 괜찮어유~
2. 종결어미 '-애'-> '-야', '-야' -> '-여'
- 참 딱햐아 / 거길 찾아 갔었댜
- 아녀~ / 그것이 뭐여? / 그대로 잘 있는개비여
3. 부사의 원순 모음화
-어떡해 ->워~떡혀
-어디-> 워~디
-어째서-> 워~째서
4.어미:
-남
- 워디 가남?
- 밥 먹디기 쉽게 되남. (밥먹듯이)
:'-ㄷ; '-당께' 충청도- 전라도 방언 상당히 비슷
- 젊은 사람이 그라믄 쓰간디
5. 단어
- 겨 아녀? (맞아 안 맞아?)
- 한하고 (계속)
- 개혀? (개고기를 먹을 줄 아느냐?)
- 지렁물(간장)
- 때똑하다(떨어질 것처럼 불안정하다)
- 흐찔하다 (지질하고 보기에 안 좋다)
- 꼬두머리(곱슬머리)
- 에피리똥(화장실)
문화어: 북한식 표준어
평안방언
1.평안방언에선=> 구개음화가 없음
*(구개음화는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것이 구개음 'ㅈ', 'ㅊ')*ㄹ 두음 법칙[5]: 모음과 상관없이 첫소리에 나오는 'ㄹ'은 반드시 'ㄴ'으로 바뀐다.
새냥 사냥 누월 유월 딮 짚 턴디 천지 둥학 중학 둏다 좋다 훈당 훈장 슬컨 실컷 승겁다 싱겁다 즐다 질다 2. 주격조사 '이'가 모음 다음에서도 실현되며, 특히 '레/래'로 실현됨
- 코가 깨졌어요 ----> 코이 깨데시요.
- 내가 그랬어요 ------> 나레 그래시요
함경방언: 경상방언과 비슷하게 성조가 있음
1. 부정 부사 '안'과 '못'이 동사와 동사 사이에 나타남=> 본동사+ 아이/ 못 + 보조동사
ex)먹어 아이 바스? (안 먹어 봤어?)
내 말 알아 못 듣소? (내 말 못 알아듣소?)
2.-슴다, -슴메?,-지비? -슴둥?
-사스미를 잡았습메? (사슴을 잡았습니까?)
-어제 왔습꾸마 (어제 왔습니다)
3. 함경방언- 구개음화일어남
- 아가씨 - 아가씌
- 시장 - 싀장
'ㅅ' + 'ㅣ' => 뒤에서 발음이 됨 => 싀
4. 청유형 어미 '-자요'
단물 주스 곽밥 도시락 망시민 네티즌 설기과자 카스텔라 가락지빵 도넛 일없다 괜찮다 게사니 거위 깜빠니아 캠페인 납작못 압정 목수건 스카프 볶음머리 파마 뜨더국 수제비 나뉜옷 투피스 나들표 입장표 올방자 책상다리 러시아어를 많이 씀 : 깜빠니아
반응형'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언학 (0) 2020.03.01 1.외래어 표기법 : 외국어를 한글로 적는 방법 (0) 2020.03.01 한국어 단어의 의미관계 (동음어) (0) 2020.02.11 의미란 무엇인가? 그 유형은? (0) 2020.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