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0-1차자표기법과 훈민정음
    언어학개론 2020. 3. 4. 14:31
    반응형

    #고유명사의 표기

    • 중국어와 우리말의 음운조직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다는 근거
    • 한자는 표의문자, 그 구조는 음절적임
    • 우리의 고유어를 음절로 분석 - 분석된 음절 형태와 음성적으로 유사한 한자음을 거기에 대응

    #이두 

    • 중국어 -SVO
    • 한국어 -SOV 
    • 단어를 국어의 문장 구조에 따라 배열하고 조사와 어미까지 표기하여 문장의 의미를 표기
    • 의미부는 그대로 한문식 어휘를 쓰고 그 사이사이 특수한 명사, 부사 , 동사 등과 조사, 계사, 접사 등만 차자로 표기
    • 겉으로 보면 한문처럼 보이지만, 한자어  + 차자표기의 고유어가 혼용된 특이한 형태의 문장
    • 차자표기를 제외,시키면 문맥이 이어지지 않게 됨
    • 공문투어에 명사 동사등이 사용
    • 관공서에서 이속(이방,육방..등 말단공무원에 해당)문서기록을 통해 발달
    • 한문 번역문의 효시
    • 구조적-국어
    • 완전한 구어체 문장은 아님
    • 작문에 이용

    언제? 신라시대에 발달을 보이다가 조선 초기에 더욱 발달.

    조선초기 <대명률직해> 에 이르러 그 체계가 완성,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에도 19세기까지 관공서와 민간에서 사용됨

     

    이탑천보십칠년무술중(척격조사 : -에)립(세우다라는 뜻)재([겨](종결어미 다) -무술년에 세웠다

    남자매삼인이(로써 이)성(이루다 동사)지(종결어미)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하여 문장 전체를 우리말로 표기한 표기법이다

     

     

     

     

     

    #구결 = 토(문법 형태소-조사+어미), 현토, 어조사, 입겿-구결의 번역

     

    • (한문 원문+ 국어의 조사와 어미)만을 표기
    • 토를 빼면 한문 원문으로 중국사람들이 읽을 수 있게 됨
    • 조선 초기의 문헌에 많이 나타남
    • 이두의 역사만큼 오래됐을 거라 추정
    • 한문을 학습하는 식자(지식인)들의 경서(불교) 해독을 돕기 위한 수단으로 발달
    • 처음 : 한문 학습자들 사이에서 구전되었을 가능성이 큼
    • 뒤: 차자나 한글로 기록되어 (훈민정음 창제 이후) 정착한 것으로 보국
    • 한문을 국어 속에 토착화시키는 수단, 그 이해를 촉진시키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을 것 - 구결
    • 한문에 토를 삽입해서 읽는 방법은
      한문과 국어의 구조적 차이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있음
    국지어음 이호중국하야 여문자 불상유통할쌔 - 한글 구결

     

    • 구역 이남경
    • 큰 한문 옆 작은 히라가나처럼 보이는 문자가 바로: 구결자 
    • 한문을 간략하게 만든 것
    • 일본어의 히라가나, 한국어 차자표기법은 모두 한자를 이용

     

    #향찰

     

    • 한자의 음과 훈을 완전히 이용해서 문장 전체를 우리말로 표기하는 형식 
      : 한자 음훈차 표기법의 완성
    • 모든 계층의 신라인이 함께 사용한 표기법
    • 향가' 제망매가

    생사길은 =>생사길흔

    오은(주제를 나타내는 보조사)거(갈거)내(안'내'자 이지만- 현재시제 선어말 어미 '느'지만 모음조화로)여사(훈차)슬도

    => 나는 가내다 말ㅅ도 (나는 간다는 말도)

    • '향찰'이란 말은 고려 초 균여대사전1075에 처음으로 나타남
    • 신라 때의 기록으로는 향언, 방언, 리어로 되어 있으나
    • 향언이라는 말을 가장 많이 씀- 향의언어
    • 향찰: 향요 곧 향가 (신라사람들의 노래가사)
    • 신라 진성왕= 향가집 편찬한 바 있어 많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임

     

    #구결과 향찰, 이두의 관계

    • 고유명사 표기는 관직명, 지명,인명 등 음성을 중심으로 하는 표상이었다고 한다면,
    • 구결: 한문원문+고유어조사, 어미 => 구결토를 빼면 완벽한 한문문장, 스님, 식자층에서 사용.
    • 이두: 국어문장(구조) + 한문 혼합 공문투어에 사용되는 동사나 명사 고유어가 사용됨 , 관공서기록에 사용
      삼국시대부터 비교적 오랜시간 지속 됨.
    • 향찰: 우리말의 전면적 표기, 한자의 음훈을 빌림. 신라시대- 고려시대 향가 일부 이후 사라짐
      스님, 화랑
    • 향찰과 이두와 구결의 발생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닐 것
    •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하여 우리말을 기록하던 방법으로 동일한 원리가 적용
    • 고려 초기 향찰식 표기법이 소멸된 후 이두문과 구결문의 두 부류로 나뉘어 발달했을 것

      *이두와 구결의 허사 표기의 예:
      이두의 훈차자가 //// 구결에서는 음차자로 대체된 양상
      주격 구격 처격 어미
    이두(훈차가 많음) 이 시(훈차) 써 이(훈차) 중 (-에)  
    구결 (음차가 많음) 이(음차) 노(로)(도구) 어+이, 애(음차)  

     

     

    •  이두, 구결은 서로 다른연원에서 출발한 것이 아님
    • 향찰과 함께 우리나라 역사의 문자 없는 공백기를 담당했던 독자적 표기방식
    • 구결이 나타난 문헌이 후대에 있다고 해서 구결은 한자차용 표기법의 가장 퇴화된 모습이 아니며, 가장 뒤늦게 생성된 표기법도 아님
    • 경서와의 접촉에서 그 필요성이 생겨난 것이라면 그 생성연대는 고유명사 표기보다도 오히려 앞설 것이라는 추정도 가능

     

     

    2.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의의: '훈민정음'은 한글의 옛 명칭이자 훈민정음 창제원리 등을 설명하고자 편찬된 <훈민정은 해례본-한자본임>을 가리키킴 .

     

    <훈민정음언해본>의 어제서문을 보면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와 같은 표현이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말과 중국어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음을 명백히 보여준다. 그 밖에도 어제서문의 내용을 통해 훈민정음 창제 동기 또는 목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고유명사는 그것이 표상하고 있는 개념보다 음성 표상이 보다 중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한자가 한국화 되는 최초의 단계로 파악된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비교적 오래 세월동안 폭넓게 사용된 차자표기법은? : 이두

     

    • 훈민정음 예의본은 1443년에 완성되었다.
    • 훈민정음 해례본은 1446년에 반포되었다.
    • 훈민정음 해례는 5해 1례의 체제로 이루어졌다..
    •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문으로 지어졌고 후에 이를 번역한 훈민정음 언해본이 간행되었다
    • 현대국어의 기본 자모 수는 24자이나 훈민정음 자모 수는 28자이다.
    •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는 음양오행이나 삼재의 원리 등 중국 성리학의 이론이 반영되었다.

    #발음기관 상형의 원리 -> 기본자 설정

    • 훈민정음의 과학성: 현대 음성학에서 자음분류의 핵심적 기준이 되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의해 제자됨
    • 오음 -> 조음위치 (아설(ㄴ)순치(치경음, 경국개 치경)후(목구멍, 성문음)
    • 설근폐후: 혀뿌리가 목구먹을 막음
    • 설부상악: 혀가 윗 잇몸에 붙는 것-> 조음 방법
    • 기본자ㅣ 각 조음 위치에서 나는 소리들 중에 가장 여린 소리(최불여)에 해당되는 것으로 제자의 시초가 됨
    • 기본자를 바탕으로 소리의 남이 약간 셈에 따라
    가장여린소리 소리가 셈 소리가 더 거세짐
     
     

     

    • 이체자 : 옛이응, ㄹ반설음(설음의 성격도 있고 아닌 성격도 있음), 반치음
    • 가획하는 것은 같지만 위에 나오는 가획의 원리와는 다르게 만듦 : 그래서 이체자

     

     

    2. 훈민정음 모음의 제자 원리

     

    기본자 : 천지인 삼재를 상형 (성리학이 배경)음양오행&삼재

     

    모음은 자음만큼 과학적이지 않음

    하늘을 상형  
    땅을상형  
    사람이 서있음  

     

     

     

    기본자를 처음 조합해서 :초출자 (아래하가 1개)
    설축 성심 원순  
    설축 성심 비원순  
    설소축 불심불천 원순  
    설소축불심불천 비원순  
    합성자 ,, 기본자를 두번 조합해서 재출자 (아래하가 2개)  
    설축이 성심, 구축 구축- 원순 기여 'ㅣ'(이중모음을 뜻)
    설축이성심 구장-비원순-개구도가 큼 기여 'ㅣ'(이중모음을 뜻)
    설소축, 불심불천(소리) 구축-비원순 -개구도가 큼 기여 'ㅣ'(이중모음을 뜻)
    설소축, 불심불천(소리) 구장 기여 'ㅣ'(이중모음을 뜻)

     

    #합성자

    • 초출자는 기본적으로 기본자 아래하와 ㅡ의 성질을 가짐
    • 입의 축장으로 구별 됨 (원순-비원순)
    • 재출자는 다시 초출자의 성질을 가지되 'ㅣ기음'을 가하여 구별
    • 기여 'ㅣ'는 이중모음에 대한 인식을 보여줌
    • 기본자 아래하와 ㅡ를 가하여 성립한 대립-> 음양모음의 모음조화 현

     

    불청불탁음-> 기본자> 가장 여린소리/ 유성음 -> 제자의 시초

    옛이응 [ng]

     

     

     

    #자음체계

    • 아음은 불청불탁음인 옛이응을 기본자로 삼지 않은 것은
      후음의 불청불탁음인 이응과 소리가 유사하여 혼동이 많기 때문
    • 치음에는 불청불탁음이 없음 -> 그 다음으로 여린 소리인 전청에서 ㅅ이 ㅈ보다 소리가 세지 않아 기본자가 

     

    #음절구조

     

    • 중국: 성모 운모 2분
    • 훈민정음 음절: 초성 중성 종성 3분
    • 음절구조를 3분법으로 이해한 것은 훈민정음을 진정한 음소문자 체계에 이르게 한 근본 원인
    • 훈민정음은 (자질을 드러내는) 음소문자: 고도의 음운 이론을 바탕으로 분류된 조음 위치를 고려하여 만들어짐
    • 자형 표기 : 음절식 표시기

     자질문자: 표음 문자의 일종으로, 발음 기관의 모양이나 소리의 특성과 같은 음운적 자질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만든 문자 체계

     

     

    훈민정음의 과학성과 독창성

     

    1.제자원리 및 자모체계를 현대 음성학적 측면에서 고려, 
    2. 창제자 및 창제시기가 분명
    3. 음절 구조에 대한 인식

     

    1.훈민정음 기본 자모 수? 17자음+11모음 =28자모

    2. 훈민정음 자음의 기본자 ? ㄱ,ㄴ,ㅁ,ㅅ,ㅇ 그노미시앙, 그너마시오

    3. 전청-평음 , 처청-격음, 설축-후설, 구장-평순, 전탁-경음

     

     

     

     

     

     

     

     

     

     

     

     

     

     

     

     

     

     

     

     

     

     

     

     

     

     

     

     

     

     

     

     

     

     

     

    반응형

    '언어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별적 자질  (0) 2020.06.25
    표준 발음법  (0) 2020.03.04
    우리말 어문 규정  (0) 2020.03.04
    언어와 성  (0) 2020.03.03
    사회언어학과 언어의 변이  (0) 2020.03.0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