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한국 여성 발화어의 특징>
*음운적 특성
경음을 더 많이 사용 부가 어법 'ㄹ' 첨가 현상이 많이 나타남 작고 귀여운 어감 지시사 조금 -> 쪼금
맞는 걸 알면서도 부가의문문식 억양을 수반하여 말끝에 물음. 단언표현이 억제된 여성이 청자에게 동의나 확인성 부가의 어법을 발달시킨 것
'이거로->이걸로'
'알아보려고->알아볼라구'
요것, 조것
*형태, 어휘적 특성
- 부사, 감탄사 등 감성어의 적극 사용 : 너무너무 , 정말, 아주, 어쩜, 어머머
- 표준어 사용을 더 많이 사용하려는 지향성: 남성 권력 위주의 사회에서 여성의 교양 과시와 신분 상승 욕구 때문이라는 연구결과
- 욕설과 금기어의 소극 사용(교양어법)
- 준말을 많이 사용: 그런데-> 근데, 그렇지->그치
- 의문형 어미(-어?, -냐? 등 보다) '-니'의 사용이 많음
- 맞장구치는 말 사용 빈번 : '응' '그래' 맞아'
- 여성과 남성의 대화 방법이 다름 : 남성의 대화목적- 정보 획득, 여성의 대화 목적- 상대방과 관계 형성 및 유지를 위해
*문법적 특성
- 의문문(특히 동의 확인성 의문문)의 과다 사용-> 대화 지속의 전략, 상대의 동의를 구함
-그렇죠? 안 그래요? - 두루 높임의 해요체 사용 빈번
- 요청이나 명령 시 명령문보다는 청유 표현 선호 : - 해주셔요, - 해 주시지 않겠어요?
남성들은 직설적인 표현을 씀.
#성차별적 표현: 일반적으로 남성 표지가 총칭명사로 쓰이거나 총칭명사로 여자를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말은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는 없음
- 여교수 : 남교수?
- lady doctor : man/gentleman doctor?
- policeman-> police officer
- chairman-> chairperson
- 남성을 나타내는 어휘가 여성을 나타내는 어휘보다 우선적으로 제시 됨:
남녀, 소년소녀, mand and woman, (cf. ladies and gentlemen -그러나 이 것의 어원도 여성에게 우호적인 의미는 아니었음) - 부정적 ㅓ의미를 가지는 표현에서는 여성을 나타내는 어휘가 우선적으로 제시:
연놈, 애미애비 - 여성을 나타내는 어휘는 남성을 나타내는 어휘보다 비속으로 쓰이는 경향이 더 많고 지위가 동등하지 않음:
년:놈, 아줌마:아저씨, cleaning lady: cleaning gentlemen - 호칭어에 남성과 다르게 여성의 사회적 특성이 드러나는 경우:
Mr.:Mrs/ Miss (->Ms.)
속어와 은어
속어? 사회적으로 비격식적이고 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단어나 표현
=slang
- 속어를 비어나 은어와 정확하게 구별할 수는 없으나,
- 대체로 은어보다는 광범위하게 사용하되,
- 비어보다는 덜 야비하며
- 천하지 않음
- 주로 사적인 상황, 집단에서 사용됨
- 속어의 기능: 놀이성이나 신기함의 추구, 또래 의식의 공유, 권위에 대한 반항, 언어 유희
대박, 짬밥, 딴따라, 구라, 짱, 골때리다 cool-very good, hot- good looking, chicken-coward, spunk-sprit 은어: 한 집단 내의 사람들만 비밀리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어나 표현
일반 언어가 특정 집단에서 암호처럼 사용되면 -> 은어
안습(눈물이 나도록 슬프다) : 10대 일부에서 먼저 은어로 사용됐음
폭사 (폭행치사)
짜가(가짜) : 더이상 은어가 아님
school : prison
piker: small town gambler
- 1970년대 이전 영화 속에서 '아빠'라는 단어를 사용 후 사회적으로 유행하게 됨. 서울지역에서 유행한 단어가 이제 한 단어가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