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글의 우수성: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체계
    언어학개론 2020. 2. 11. 18:28
    반응형

    * 훈민정음제자 원리에는 음양오행이나 삼재의 원리 등 중국 성리학의 이론이 반영 되었다.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및 자모체계를 현대음성학적 측면에서 고려하고, 
    창제자 및 창제시기가 분명하다는 것 이외에도 음절 구조에 대한 인식등을 보면
    그 과학성과 독창성에 대해 알 수 있다.

     

    1. 훈민정음 기본 자모 수: 자음17+모음11=28자

    2. 자음의 기본자=ㄱㄴㅁㅅㅇ 이고 ㅂ은 가획자에 해당

    3. 전청-평음, 차청-격음, 설축-후설,구장-평순

     

     

    1.훈민정음 자음의 제자 원리

    #발음기관 상형의 원리 ->기본자 설정

    아음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꼴

    설음

    혀 윗잇몸에 붙는 꼴 

    순음

     

    입의 꼴

    치음

    이의 꼴

    후음

    목구멍의 꼴

    • 훈민정음의 과학성 : 현대 음성학에서 자음 분류의 핵심적 기준: 조음위치, 조음방법, 에 의해 제자됨.
    • 오음- 조음위치, 설근폐후(혀뿌리가 목구멍을 막음), 설부상악(혀가 윗 잇몸에 붙음)-조음 방법.
    • 기본자: 각 조음 위치에서 나는 소리들 중 가장 여린 소리(최불여)에 해당되는 것으로 제자의 시초가 됨

     

     

     

     

    #가획(획을 더하다) 의 원리 : 기본자 +획 => 소리의 남이 약간 셀 수록 획을 더 함

    기본 글자(바탕으로)는 가장 여림

    점점 세어질 수록 획을 더 함

     

     

    가획 →

    가획

     

     

    • 이체자 : ㅇ (옛이응), ㄹ(반설음), (반치음)

     

    #모음기본자: 천지인 삼재를 상형

    모음은 자음만큼 과학적이라고 할 수 없음, 그러나 철학적 요소(태극, 음양오행)가 반영됨.

    아래 하: 하늘이 둥근 모양

    ㅡ: 땅이 평평한 모양

    ㅣ: 사람이 서 있는 모양 

    #모음의 현대 음성학적 측면에서 과학적 면모:

    아래 하: 혀가 오므라듬-후설 모음 소리가 깊음(몸 안쪽에서 나는 소리)

    ㅡ:혀가 살짝 오므라듬-중설 모음

    ㅣ: 혀가 펴짐 - 전설 모음-소리가 얕다, 가볍다(몸 바깥쪽에서 나는 소리)

     

    • 아래 하: 후설 모음 - 공명 공간이 커 음향감이 깊음 deep, dark, low-pitched
    • ㅡ: 중설 모음 -음향감은 깊지도 얕지도 않음
    • ㅣ:전설 모음-혀가 쭉 뻗어져 공명 공간이 좁아지므로 음향감 얕음 clear, high-pitched

    #합성자

    • 초출자 (기본자를 처음 만듬) 오아우어
     
     
     
     

     

    • 재출자 유야유여

    설축, 성심,구축,기어ㅣ

    설축, 성심, 구장,기어ㅣ

    설소축,불심,불천,구축,기어ㅣ

    설소축,불심, 불천, 구장,기어ㅣ

    • 합성자
    • 초출차는 기본적으로'아래하'와 'ㅡ;의 성질을 가지되 입의 축장(오므라들고 펴지는)으로 구별하고, 재출자는 다시 초출자의 성질을 가지되 'ㅣ기음';을 가하여 구별=ㅓ,ㅏ: 음성, 양성 모음이면서 입이 펴지는 개구도가 큰 소리가 됨
    • =ㅗ, ㅜ : 입이 오므라드는 성질 ...원순모음
    • ㅣ는 이중모음에 대한 인식을 보여줌
    • 기본자 '아래하'와'ㅡ'를 가하여 성립한 대립-> 음양모음의 모음조화 현상

     

     

     

    3. 훈민정음 자모 체계

    자음체계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음

    반치음

    전청(평음)

    ㄱ ('군'자 초발성)

    ㄷ('두'자초발성)

    ㅅ ㅈ

         

    차청(격음)

       

    전탁(경음)-복합글자

    ㅆㅉ

    ㅎㅎ

       

    불천불탁(유성음)

     

     
     

       

    방입

     

       

    오행

       

    오시

    여름

     

    가을

    겨울

       

    오음

                 

     

    만물의 시초는 물, 소리의 시작은 목구멍(후음) 

    해가 나는 동쪽, 물에서 만물의 싹이 자라남

    그리하여 목구멍 다음인 연구개음=나무(목)

    뜨거운 불, 남쪽, 여름 - 설음

     

    • 전청을 병서(나란히 씀)하면 전탁(경음)이 됨오직 후음에서 차청이 전탁되는 것은 성문폐쇄 ㅎ후음의 경우만 예외적으로 전청이 아니라 차청을 두번 반복하여 전탁을 만듦
    • ㅎ여린히읗 자체가 본래 엉기는 소리이기 때문에 또 한번 엉기게(응축) 할 수 없음
    • 전청의 소리가 엉기면 전탁이 되기 때문
    • 훈민정음 제자해의 이론은 음양 오행 사시지리(사계절)등 역학의 원리가 일관되게 적용됨

     

     

     

     

    #모음체계

    • 기본음소: 천지인(기본자), 오아우어, 요야유여
    • 합용: -상수합용=ㅣ목합지삼자합용지: 동출합용+'ㅣ'(ㅙ,ㅞ,ㅛㅒ,ㅠㅖ)
    • 이자합용지:기본음소 천지인, 오아우어,요야유여(재출자) +'ㅣ' 
    • -동출합용=ㅘ,ㅝ,ㅛㅑㅠㅕ (음성-음성, 양성-양성, 초출자*2 , 재출자*2)

    #음절 구조

    중국어의 음절 구조: 성모, 운모(ㅎ+ㅜㄴ)

    훈민정음의 음절 구조: 초, 중, 종성(ㅎ+ㅜ+ㄴ)

     

    • 훈민정음의 독창성: 중국-성모,운모 2분, 훈민정음-초중종성 3분
    • 음절구조를 3분법으로 이해한 것은 훈민정음을 진정한 음소문자 체계에 이르게 한 근본
    • 자질 문자, 표기는 음절식(모아쓰기)으로 표기.

     

     

     

     

     

     

    반응형

    '언어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심리언어학  (0) 2020.03.01
    신경언어학  (0) 2020.03.01
    응용언어학 (미완성)  (0) 2020.03.01
    2. 로마자 표기법  (0) 2020.03.01
    훈민정음  (0) 2020.02.0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