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훈민정음
    언어학개론 2020. 2. 3. 12:08
    반응형

    #훈민정음 이전

    1. 최초의 한자차용표기법 : 고유명사 표기
    =고유명사는 그것이 표상하고 있는 개념보다 음성 표상이 보다 중요성을 가지기 떄문에 한자가 한국화 되는 최초의 단계로 파악됨.

     

    2.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비교적 오래 폭넓게 사용된 차자표기법: 이두

    -향찰은 주로 신라시대에 사용되었고 구결은 주로 조선조 초기의 문헌에 많이 나타난데 반해, 이두는 오랜 세월동안 폭넓게 사용 됨

     

    3. 차자표기법은 한자를 빌어 우리말을 기록하던 표기법 - 고유명사표기, 이두, 구결, 향찰 표기

    4. 구결: 한문 원문에 국어의 조사와 어미만을 표기,

    5. 향찰: 문장 전체를 우리말로 표기한 것

    6.이두: 대체로 구결과 향찰의 중간 형태

     

    #훈민정음 = 한글의 옛 명칭

     

     

     

    훈민정음 창제는 1443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반포:1446년 세종28

    #훈민정음 해례본 : 훈민정음 창제 원리 등을 설명하고자 편찬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문으로 지어졌고 후에 이를 번역한 훈민정음 언해본이 간행되었다.

    #훈민정음의 체재와 내용:한문으로 이루어진 해설서 
    (예의, 해례, 정인지 서문으로 이루어져 있음)

     

     

    -예의=본문 : 훈민정음 창제목적을 명시한 어제서문과 훈민정음의 음가와 운용법 등에 대한 설명 포함

    예의를 풀어서 설명하는 책을 만든 것 = 해례

    -해례

    • 제자해: 제자원리와 자음체계, 모음체계 등을 설명
    • 초성해
    • 중성해
    • 종성해
    • 합자해 : 초, 중, 종성 문자를 합해서 표기하는 예(25개 단어) 당시의 국어의 성조에 대해 설명
    • 용자례: 94개의 단어 예 제시- 초중종성 자모음 사용의 예.

    -정인지 후서 = 정인지 서문

    어제서문과 구분함

    • 예의: 세종이 직접 지음1443
    • 해례: 정인지,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최항,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 집현전 학사가 집필
    • 정인지가 대표로 쓴 서문에는 1446년 9월 상순에 발간일 명시, 후일 한글날 제정의 바탕이 됨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 및 목적

    1. 국민 교화를 위한 순수한 국어 표기의 필요성
    2. 한자 및 차자표기법의 불편
    3. 성리학 연구의 진흥과 문화 선진국 건설을 위한 문자 창제의 필요성
    4. 중국에 대한 외교와 -중국 운서 번역 사업- 개정된 우리 한자음과 외국어음의 정확한 표기 수단의 필요성

     

     

    반응형

    '언어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심리언어학  (0) 2020.03.01
    신경언어학  (0) 2020.03.01
    응용언어학 (미완성)  (0) 2020.03.01
    2. 로마자 표기법  (0) 2020.03.01
    한글의 우수성: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체계  (0) 2020.02.1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