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1-1문장의 대조 (1)
    대조언어학 2020. 3. 3. 15:58
    반응형

    2. 문장의 종류: 화자의 발화 목적에 따라 분류

    • 모든 언어가 동일한 문장의 종류를 갖는 것은 아님
    • 영어에는 한국어의 청유문에 해당하는 문장이 존재하지 않음
      -let us의 형태를 빌어 한국어의 청유문과 같은 의미의 문장을 만들 수 있음
      -이 표현은 한국어와는 달리 1인칭 복수가 아닌 경우에도 얼마든지 사용 가능

    3. 문장의 분류

    1. 문장의 기능

     

    문장의 기능은 두 가지 관점에서 분류

    통보문장 communicative sentence 명령문, 감탄문

    화자의 발화에 대해 단순하게 대응

    :날씨가 좋구나!
    맞아요!

    청자에 대한 고려가 적음

    화자중심, 시공간의 제약(발화 그 시점, 그 장소에 국한 됨)

    정보문장 informative sentence 평서문, 의문문

    단순한 대화가 아니라 정보를 담음

     

     

    정보의 교환, 시공간제약X

    #의미는 감탄이지만 항상 감탄문 형식으로 실현되지는 않음

    의미는 명령문이지만  명령문 형식으로 실현되지는 않음

     

    웬일이야? 의문문 형식감탄
    여기서 나가란 말이야 명령문 형식감탄
    이거 진짜 맛있어 강조어를 이용한 평서문 형식감탄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모두가 독자적인 문법적 장치에 의해 실현되지는 않음

    모든 언어가 발화 목적에 따른 문법적 장치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님

    한국어의 청유문 -> 영어'let'

    let= 1인칭 복수, 1인칭 단수 , 3인칭과 함께 사용

    Let us, Let me, Let them

    • 영어에는 한국어 청유문에 해당하는 독자적인 문법적 장치가 없음-> LET!!
    • let명령문의 하위부류 = 청유문
    • 한국어에는 독자적 청유문 형식 존재
    • 문장의 종류와 문법적 장치를 가진 문장의 유형은 언어에 따라 다름
      -대부분의 언어 =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3가지는 공통적으로 가짐

    4.평서문의 대조

     

    1. 구조적 무표성

    • 한국어, 일본어: 평서문을 나타내는 장치가 존재 = 유표적
    • 일본어와 프랑스어 의문문= 펑서문+의문첨사

    **밥을 먹는다 /먹어요/ 먹습니다. - 평서문 종결어미 존재

    일어: -마스 (평서문표지) -다, -데스

     

    2. 어순적 무표성

     

    • 평서문의 어순 = 기본 어순
      -SOV , SVO, VSO 평서문을 바탕으로 한 것임
      -영어의 의문문에서는 동사가 문두에 ,주어가 동사 뒤에 옴 SVO_->VSO : The cat is big -> Is the cat big?

    3.제약적 무표성

     

    • 평서문: 서술어 범주의 사용에 있어서 무표적임
    • 명령문: 시제와 서술어의 사용에 제약이 있어 과거시제나 형용사를 사용할 수 없음
    • 명령문: 주어 사용에 대한 제약이 있음.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1, 3인칭은 사용할 수 없음, 보통 2인칭에 대한 명령임 ->이 제약은 평서문에는 존재하지 않음

    4. 음성적 무표성

    • 억양이 무표적
    • 대부분의 언어에서 평서문은 하강조(하강조가 무표적, 기준이 되지 않음)
    • 의문문: 상향조 억양 (유표적)
    • 많은 언어에서 억양은 부가적 요소
    • 자유어순언어는 오직 억양만으로 평서문과 의문문이 구별되는 언어가 존재
      :러시아어, 아랍어, 스페인어 - 평서문은 하강조, 명령문은 상승조

    5종합

    • 언어적 차이를 보이는 것은 평서문의 표지와 어순
    • 억양은 부수적이지만 추가적으로 포함됨
    •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의 어순이 고정된 언어에서는 어순으로 평서문이 구분됨 (도치)
    •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언어 한국어 일본어: 평서문이 문법적 장치로 구분 (뒤집어 말하면 문법적 장치가 있기 때문에 어순이 자유로울 수 있음)
      어순이 자유롭지 못한 스페인어와 러시어어: 억양에 의해 평서문이 구분

    2. 한국어의 평서문

     

    • 기본어순 sov따름

     

     

     

     

     

     

     

     

     

     

     

     

     

     

     

     

     

     

     

    반응형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조언어학 총정리  (3) 2020.03.03
    상 ASPECT의 대조  (0) 2020.03.02
    13-2 표현 및 담화 대조1  (0) 2020.03.01
    13-1 상위어와 하위어를 활용한 어휘 대조  (0) 2020.02.27
    어휘 대조1  (0) 2020.02.27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