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한국어 교육과정 설계-3, 교육 목적 및 표 기술(1)한국어교육과정및교육설계 2020. 4. 15. 20:35반응형
**출처 : 이 과목의 모든 내용은 안용준 교수님의 강의 내용과 교안의 내용을 필사 및 재구성한 것임을 알립니다**
Q.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는 동일한 개념이다?
A.아니다.
교육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교육 목표를 설정하게 되는 것으로 둘은 동일한 개념이라 할 수 없다.
1. 교육 목적의 설정에 관련된 사상적 기반
교육프로그램의 목적을 개발할 때 계획자들이 고려해야 하는 것
(학습자, 교사, 학교에 대한 계획자의 신념과 이데올로기) + (학습자와 사회의 현재/장기적 요구에 대한 이해)
#학문적합리주의 #학습자중심성 #사회적,경제적효용성 #사회적재구성주의 #문화적다원주의
1. 학문적 합리주의
- 언어교육 과정의 발달이 예전부터 언어교수의 과정의 발달을 따라오고 있다.
- 과거 서구 고등학교 학습자들이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배우는 것은 '정신 수양'에 도움이 된다고 믿어 교양으로 여겼다.
- 교과목에 내재된 가치를 강조했다.
- 학습자의 지성, 인본주의적 가치, 합리성 발달에 교육과정 목적이 맡은 역할을 강조했다.
- 교육 내용을 숙지하는 것 자체가 교육과정의 목적이었다.
- 학교의 역할: 특정한 문화적 전통의 주된 성과물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통찰력을 갖게 한다. -> 언어적 기술이 아닌 내용에 초점
- 암기력, 분석력, 분류 능력, 지식을 재구성하는 능력 등의 지적 능력 개발을 통해 인생에서 마주하게 될 도전에 대처하게 한다.
<비판적 견해>
- 언어 프로그램에 문학 코스나 영미문화를 포함하는 것을 정당화하는데 이용했다는 비판이 있다.
이것이 비판적인 내용이 되는 이유는 시대적 배경을 연결 시켜서 생각해볼 수 있다. - 식민 통치하의 영어 교육과정에 학생들을 영국 문화에 동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2.사회적 경제적 효용성
- 학습자와 사회의 실질적 요구를 강조한다.
- 경제적 생산력이 있는 학습자를 배출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역할을 강조한다.
- 교육과정 개발을 공장과 생산에 비유한다.
- 배경: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같은 이민국에 이민자들이 증가하면서 정부는 이민자들이 빨리 언어를 배워 생산활동에 참가하기를 원했다.
- 언어 교수에 있어 외국어나 제2외국어에서 실제적이고 기능적인 기술을 강조했다.
- 영어 교수의 정당성을 위해 사회적 경제적 요구를 강조했다
예) 일본 경제 불황의 이유를 영어 표준 증력이 낮은데서 기인했다고 분석한다.
-대량의 정보가 영어로 기록되는 인터넷 세계에서 도태된다.
일본의 호황 시기에 일본사람들은 영어를 배울 필요가 없었고 오히려 외국인들이 일본어를 많이 배웠다,
그러나 경제적 상황이 역전되자 부작용이 일어났다.
<비판적 견해>
- 영어를 외국어로 하는 많은 나라에서 영어 교육과정이 학문적 합리주의에서---> 사회적, 경제적, 효용성 기반 모형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에 대한 비판이 있다.
- 실제적이고 기능적인 기술을 강조하는 태도는 언어적 기술과 목표를 학습자의 요구와 동일시 시켜 생각하게 한다.
- 교육과정은 학습자 일상의 요구와 지식과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사회의 실질적 요구에 맞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 궁극적으로 사회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3. 학습자 중심성
- 교수지향 학습에 반대하는 총체적 용어이다.
- 학습자 개인에 대한 요구, 개인 경험의 역할, 인식, 자기 반성, 비판적 사고, 학습자 전략의 발달 필요성, 학습자에게 중요하다고 여기는 자질과 기술을 강조한다.
- 학습을 발달 단계로 나뉠 수 있는 연속체로 본다.
- 경험을 통한 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결과보다는 과정을 강조하며, 학습자 간의 개인차, 학습자 전략, 학습자 자기 주도성과 자율성에 초점을 맞춘다.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쟁점 :
-효과적인 개별화 방안
-전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수내용이 있어야 하며 그와 더불어 개인의 요구와 조화시켜야 한다.
-자유방임주의로 흐를 위험성- 순간적인 흥미에 바탕을 둔 교육과정이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사회적 요구로 눈을 돌린 실제 지향적 활동을 개발해야 한다. - 무조건 적으로 학습자 중심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아니다.
4. 사회적 재구성주의
- 언어를 배우는 것은 이념과 철학적 문제와 밀접히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 불평등과 관계가 있다.
- 학교와 학습자가 사회적 불의와 불평등을 다루는 역할을 할 수 있고 그런 역할을 해야 함을 강조한다
외국인 근로자
다문화 가정 자녀
결혼 이민 여성 - 학교는 모두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지 않으며 사회의 일반적 불평등을 반영
- 교사는 학생이 계급, 인종 또는 성별에 대한 불공정한 체제를 인식하고 그에 도전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
- 교수 활동은 반드시 학생들에게 능력을 부여하도록 해야 하며 그들이 삶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단순히 언어를 가르치는 과정이 아닌 언어 통해 문화에 적응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 체제가 불합리하다면 그 것을 인지하고 싸워나갈 수 있는 힘까지도 가르치는 과정을 포함한다.
<비판적 견해>
- 교사와 학생이 그들이 속한 체제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없다.
5. 문화적 다원주의
더보기성인 학습자를 마치 그들이 언어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다루는 것은
힘의 불균형을 인정하는 것이고 궁극적으로 제도적 인종주의와 결탁하는 것이다.또한, 이중 언어적 접근을 채택하고 학습자의 기존 지식을 ㄴ중하는 것은 그 불평등한 권력관계에 대해 도전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Collingham1988 emphasizes that the importance of valuing learners' language knowledge: " To treat adult learners as if they know nothing of language is to accept the imbalance of power and so ultimately to collude with institutional racism; to adopt a bilingual approach and to value the knowledge that learners already have is to begin to challenge that unequal power relationship"
-Collingham,1988-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By Jack C. Richards, Jack Croft Richards, Richards
말을 잘 못하기 때문에 아이처럼 가르치게 되는데 아무것도 모르고 있는 사람처럼 다루는 것은 '밑에 있는 사람'으로 여기는 것이라 비판한다. 대신에 기존 지식을 상호존중하여 언어 목적을 설정해야 한다.
- 학생들이 사회, 경제적으로 우세한 문화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에 참여하도록 학교가 이들을 준비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 인종주의를 타파하고 소수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며 어린이들이 기타 문화 및 종교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을 돕는다.
- 다문화 사회 학생들의 '비교문화crosscultural 능력' 또는 '간문화 의사소통 intercultural communication 능력' 개발을 주장한다.
- 미국, 호주와 같은 다문화 사회에서 영어 교수에 대한 이중 언어적 접근의 필요성을 불러일으킨다.
- ESL교실에서 영어만 사용해야 한다는 이론적 근거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 제2언어 학습에서 모국어를 읽고 쓰는 능력이 매우 중요함을 역설한다.- 언어 보편적인 능력은 같은 맥락을 갖고 있으므로 모국어의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제2언어 학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2. 교육목적과 교육 목표의 개념
:영어단어로 기억하는게 좋음*
1. 최종목적(goals)에 대한 개념 및 주요 가설
<개념>
- 교육과정의 목적aims 과 목표objectives를 포괄한다.
-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설정된 언어교수 프로그램의 본질적인 도달점을 뜻한다.
<가설>
- 사람들은 대개 특정한 목적을 추구함으로써 동기를 부여받게 된다.
- 교수에서 목표/목적 있으면 교수와 학습의 효과가 높아진다.
- 프로그램은 그 목적이 명백하고 분명하게 기술될 때 효과적일 것이다.
- 목적? 거시적인 측면에서 이 언어를 배워서 ~이 되겠다
- 목표? ~을 하겠다. 단기적 목표.
<교육과정 목적의 본질에 관한 질문들>
- 외국어 학습에 대한 실질적 요구가 없으면 학교에서 학습자들에게 가르치는 외국어 수업은 가치가 있는가?
- 이주민을 위한 언어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실질적인 생활 언어 기술만 가르칠 것인가? 혹은 이주민이 직면하게 될 인종상의 문제 및 다른 형태의 불이익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하는가?
- 교육과정 형성에 학습자들을 참여시켜야 하는가 혹은 교사들에게 전적으로 맡겨야 하는가?
- 학습자는 학습하는 언어권의 문학과 문화를 배워야 하는가? 또는 언어를 단지 도구로서 사용하고 말하도록 배워야 하는가?
- 언어 교사가 학습자들에게 사회적 불공평을 인식하도록 일깨워 주는 것 또한 교사의 일인가?
- 학습자가 무의미한 언어 시험을 통과하도록 도와야 하는가 아니면 좀 더 공정한 평가의 방법을 찾도록 노력해야 하는가?
2. 목적AIMS에 대한 개념 및 목적 진술의 취지
<개념>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일어나기를 바라는 일반적인 변화에 대한 진술이다.
<취지>
- 프로그램의 목표를 분명히 정의하기 위해서이다.
- 교사, 학습자, 교재 집필자에게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 교육의 초점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 학습에 있어서 중요하고 실현 가능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이다.
<목적문 기술 방법>
- 목적문은 요구 분석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해서 작성한다.
- 목적문을 기술할 때는 학생들이 참여하게 될 활동 그 이상을 기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목적문 기술은 학습자에게 결과적으로 일어나는 변화에 초점을 두어 기술한다.
예) 장을 볼 때 사용하는 언어를 배운다. (X)
장을 볼 때 언어를 사용하여 물건을 교환, 환불을 할 수 있다(O) - 구체화 해야 한다.
잘못된 예 올바른 예 - 학생들은 업무 편지를 쓰는 것에 대해 배울 것이다.
- 듣기 기술을 배울 것이다.
-대화 연습을 할 것이다.
- 비즈니스 서신을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배운다.
-비즈니스 상황에서 사용되는 전문적인 용어를 듣고 이해할 수 있다.= 변화된 모습
-직장에서 동료들과 일상적인 대화에 참여하는 방법을 배운다.
3. 목표OBJECTIVES에 대한 개념 및 특성
<개념>
- 단기적, 단편적, 구체적, 결과지향적 으로 이뤄내야 하는 것이다.
- GOALS에 대해 좀 더 정확하고 세부적인 진술을 하는 것이다.
<목표 기술의 특성>
학습 결과를 나타낸다:
- **어떻게 ~을 하는지 배울 것이다.
- ~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목표는 교육과정 목적과 일치해야 함 - 목적을 명확히 실현하도록 해주는 목표만 포함해야 한다.
- 명확해야 한다. : 막연하고 모호한 목표는 유용하지 않다.
-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 주어진 시간안에 달성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야 한다.
<목표 기술의 예>
-강의 이해하기 활동과 관련된 교육 목적과 목표를 설정해 보자.
- 교육 목적: 학생들은 한국어로 진행되는 강의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배운다.
- 교육 목표: 학생들은 강의의 주제, 논제를 이해할 수 있다.
학생들은 강의의 논점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자신의 견해를 정리할 수 있다.
반응형'한국어교육과정및교육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준별 단계적 전개 모형 (0) 2020.06.25 10-2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0) 2020.06.02 10-1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교수 자료의 선정과 개발 (0) 2020.06.02 4-2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3, 교육 목적 및 목표 기술(2) (0) 2020.04.20 3-1한국어 교육과정 설계-2, 요구분석(1) , 두번째 (0) 202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