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0-2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한국어교육과정및교육설계 2020. 6. 2. 19:46
    반응형

    **출처 : 이 과목의 모든 내용은 안용준교수님의 강의 내용과 교안의 내용을 필사 혹은 재구성한 것임을 알립니다**

     

    1. 평가 목적에 따른 평가의 유형

     

    1. 대상에 따른 평가 유형

     

    1. 학습자 대상의 평가: '평가'라는 용어는 'testing, assessment'의 의미로 학습자를 대상으로하는 언어 수행 능력 평가를 의미한다.

     

    -배치평가: 교육과정 시작 전, 학습자를 적절한 등급에 배치하기 위한 평가다. (e.g레벨테스트)

    -진단평가: 한급자 언어 능력의 특정 측면을 진단하여 학습자에게 알맞은 교육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다.

    -성취도 평가: 교육 목표의 성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다. (e.g 중간, 기말 고사)

    -숙달도 평가: 학습자의 언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다. (e.g 토픽TOPIK)

     

    : 성취도 평가는 과정 중간 중간에 배운 내용 확인을 위한 평가이며 숙달도 평가는 총체적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배우지 않은 영역의 것들도 평가에 포함이 된다.

     

     

    2.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 '프로그램이나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evalutation'

     

    -시험 : 학생들을 대상으로 배운 것을 테스트 한다. (테스트, 어세스먼트)

    -평가: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이다. (evaluation)

     

    형성평가 조명적 평가 총괄평가

     

     

     

    2. 목적에 따른 평가 유형

     

    #평가를 시행하는 주요 목적

     

    1. 프로그램의 책무성을 평가한다.

    • 프로그램에 개입된 사람들이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프로그램인지를 확인한다.

    • 교육적 순환의 마지막 지점에서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의 효과를 검토한다.

    • 일반적으로 외부 이용자 또는 의사 결정자를 위해 수용된다. (??)

    2.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평가

    • 실행 중일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행된다.
    • 프로그램에 관련된 교직원들이 평가에 참여된다.

     

    #평가의 목적에 따른 분류

     

    형성평가 조명적 평가 총괄평가
    -진행 중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향상에 초점을 둔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일부로 수행 된다: 마지막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생,교수 프로그램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으로 실시된다.

    -결과나 성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진다.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수시로 측정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 내용과 방법을 개선하도록 돕는다.

    -형성평가에서 수집된 위와 관련된 정보들은 문제를 해결, 프로그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어떤 다양한 양상이 나타나고 시행되는지를 알아보려는 평가다.

    -프로그램 내의 교수, 학습 과정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로, 코스를 바꿀 필요가 없다.
    -강사평가, 시설평가, 기관평가, 교육과정평가가 종합된 것이 총괄평가다.

    -교육과정이 운영된 후에 수용성, 효율성 등에 초점을 두고 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효과와 효용성 및 수용성의 정도와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교사와 프로그램 관리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평가다.
    관련 질문


    - 특정 목표에 대해 충분히 시간을 할애했는가?

    -프로그램 배치고사는 학생들을 자신에게 맞는 수준으로 배치했는가?

    -학생들이 교재를 잘 받아들이는가?

    -교사가 이용하는 교수법 / 방법론이 적절한가?

    -교사나 학생들은 코스의 어떤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즐기는가?
    -아니라면,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가?

    -학생들이 충분히 연습을 하고 있는가?
    -학생들은 어떻게 과제를 수행하는가?

    -모든 학생이 그 안에서 동등하게 참여하는가?

    -교사가 사용하는 오류-수정 전략은 어떤 유형인가?

    -교사가 수업 중에 사용하는 의사 결정의 종류는 무엇인가?

    -교사는 수업 중에 학습 계획, 강의안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수업중에 어떤 유형의 교사 -학생 상호작용 유형이 일어나는가?

    -학생들은 다양한 텍스트에서 어떤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가?

    -교실에서 어떤 학생들이 가장 활동적인가 혹은 소극적인가?
    - 코스는 얼마나 효과적이었는가?
    -무엇을 달성했는가?
    -학생들은 무엇을 배원는가?
    -학생과 교사는 코스를 얼마나 잘 받아들였는가?
    -교육자료는 도움이 되었는가?
    -목표는 적절했는가? 수정되어야 하는가?
    -처음에 시행된 배치평가 및 성취도 평가는 적절했는가?
    -각 단원에 대한 시간 분배는 충분했는가?
    -교수법은 얼마나 적절했는가?
    -코스가 진행되는 동안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가?

     

     

    +총괄평가 보충

     

    • 총괄 평가를 통해 언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effectiveness에 대한 판정이 필요하다.
    • 효과성을 판정의 근거:
    목표 달성 시험testing 수용성 측정 유지율(재등록률) 코스의 효용성
    습자들에게 "목표를 얼마나 성취했는가?"를 물어보는 방법이다 공식적/ 비공식적 시험을 시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 잘 가르쳤으면 학습자들이 잘 배웠을 것이라는 직관에 따른다. 코스가 받아들여질만한 것인지 아닌지 교수와 학습자들에 의해 결정하게 한다. 유지율이 높다면 코스의 효과성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황적, 경제적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
    코스의 개발과 시행이 얼마나 제대로 이루어졌는가를 측정. 코스 시행기간 동안 일어난 문제점의 수, 개발에 들인 시간, 전문화된 자료와 교사 훈련에 대한 필요성 들이 근거가 된다.

     

     

     

     

    2. 프로그램 평가의 고려 대상

     

     

    1. 평가 이용자

    • 언어 교수 프로그램에는 다양한 종류의 평가 이용자가 있다.
    • 각 평가 이용자의 관심 있는 정보가 아는 것이 중요하다.

     

    #평가 이용자의 관심 정보

     

    평가 이용자 학생들 교사들 교육과정개발자들
    평가이용자의 관심 질문 -나는 무엇을 배웠는가?
    -과정을 얼마나 잘 수행했는가?
    -이 코스를 얼마나 좋게 평가할 것인가?
    -나에게 추가 코스가 필요한가?
    -얼마나 잘 가르쳤는가?
    -나의 학생들은 무엇을 배웠는가?
    -학생들은 과정을 만족했는가?
    -코스 구성이 얼마나 효과적이었는가?
    -교재 및 코스 과제는 얼마나 유용했는가?

    -코스와 자료의 설계는 적절한가?
    -코스의 어떤 측면이 수정 및 대체되어야 하는가?
    -교사와 학생은 코스에 호의적으로 반응하는가?
    -교사에게 코스와 관련한 추가적 지원이 필요한가?
    평가 이용자 관리자 학부모(후원자)  
    평가이용자의 관심 질문 -코스 시간는 적절했나?
    -고객의 기대를 충족 시켰나?
    -시험 및 평가는 적절했나?
    -자원들이 잘 이용 되었는가?
    -코스의 문제가 규명되고 개선되는데 성공하였는가?
    -코스의 비용은 정당했는가?
    -약속한 것을 전달했는가?
    -관리가 잘 되었는가?
    -코스에 대한 보고는 적절한가?
     

     

     

    2. 평가 과정 참여자

     

    내부자 외부자
    -교사, 학생 등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에 관련 있는 사람이다.
    -프로그램 평가의 중요 요인은 내부자의 참여가 중요하다.
    -상담 전문가, 행정가 같은 코스에 대해 독립적인 관찰자

    -코스에 대한 객관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3.

    양적 평가 질적 평가
    - 숫자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측정한다.

    -많은 검사 결과는 빈도, 순위, 백분율 같은 계산된 숫자로 제시된다.

    -데이터화 되어 통계적으로 분석된다.
    - 숫자로 나타낼 수 없는 것을 측정한다.

    -교실 관찰, 인터뷰, 일기, 일지, 사례 연구 등으로부터 얻은 정보다.

    -양적 접근보다 훨씬 전체적이고 자연적이다.

    -아주 적은 사례들로부터 많은 양의 정보를 수집한다.

     

    4. 문서화의 중요성 : 코스에 대한 이용 가능한 문서 자료가 많을수록 결정을 내리기가 쉽다.

     

    문서화 가능한 자료들
    코스 통계 관련 코스 문서 코스 과제
    서면 논평 기관 문서 코스 검토 문서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