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4-2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3, 교육 목적 및 목표 기술(2)
    한국어교육과정및교육설계 2020. 4. 20. 20:46
    반응형

    **출처 : 이 과목의 모든 내용은  안용준 교수님의 강의 내용과 교안의 내용을 필사 및 재구성한 것임을 알립니다**

     

     

    1. 언어 능력에 대한 견해와 언어 교육의 목적

     

     

    1. 언어 능력에 대한 견해

    -촘스키 Chomsky, 1965


    "언어능력 (linguistic competence)이란 화자가 '언어에 관해서 알고 있는 것,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나타낸다.
    실제 발화는 언어 수행(linguisitic performance)에 불과한 것이다."

     

    • 세계의 각 언어들이 나타내는 모양새는 다르지만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쓰이는(언어활동에서 사회적인 측면) 공통점이 있으며, 
      보편적인 문법이(체계적 측면) 존재한다고 본다.  →'언어 능력'(linguisitc competence)즉, (공통된) 랑그가 존재한다.
    • 여러 가지 언어들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 어떻게 발화하느냐의 문제이다. 내재화된 '언어 능력'이 실제로 발화된다. = 언어 수행이다. (linguistic performance)→ 파롤. Parol.
    • 촘스키는 '언어 능력'(linguistic competence)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임즈 Hymes, 1972

    • '언어 능력' + '언어 사용'= 의사소통 능력
    • '의사소통' 능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 언어학은 교육과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접근 가능하다.



    커넬과 스웨인 Canale & Swain, 1980

    문법적 능력(촘스키의 linguistic competence), 사회 언어학적 능력, 담화 능력, 전략적 능력

    • 문법적 능력: 어휘와 문법에 관한 능력
    • 사회 언어적 능력: 사회적 맥락에 맞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사회성, 문화적 맥락과 맞닿아 있다.
    • 담화 능력: 담화 상황을 파악하여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
    • 전략적 능력: 회피, 반복, 강조 등과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이야기하고 싶지 않을 때, 피하고 싶을 때, 말문이 막힐 때, 강조할 때 등 문장을 만드는 것 외에 의사 의도를 분명하게 전달하는 능력을 뜻한다.

     

     

     

     

    바흐만 bachman,1990

    의사소통 능력= 조직능력 + 활용능력
    • 조직능력? 문법적 + 담화적 내용을 포함하는 능력을 말한다.
    • 활용능력:  사회언어학적, 전략적 능력을 뜻한다.

     

     

     

     

     

    2. 언어 교육의 목적 
    :언어 능력에 대한 개념들을 토대로 하여
    언어 능력을 쌓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다.

     

     

     

    클라크 Clark, 1987

    의사소통적 목적
    사회 문화적 목적
    학습 방법 목적
    언어와 문화 인식 목적

     

    • 의사소통적 목적: 가장 원초적인 목적이 될 수 있다. 개인적인 관계를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해서이며, 
      이를 통해 정보, 의견 등을 교환하고 일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 사회 문화적 목적: 목표어 발화 공동체 중 또래 그룹의 일상생활을 이해하는 것이다.
      -언어를 이해하더라도 문화적인 내용을 배제하면 내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  학습방법 목적: 일정 기간 동안 일을 협상하고 계획하며, 실재적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수단을 마련할 것인지를 배우는 것
      - '배움' 자체에 목적이 있다. 언어로 무엇을 이룬다기보다 언어를 배우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달성해나가는 데에 목적이 있다.
    • 언어와 문화 인식 목적: 언어의 체계적 본질과 사용법을 이해하는 것이다. 
      - 포괄적 이해를 쌓아가는 것이다.

     

     

     

     

     

    스턴 Stern, 1992

    숙달도 목적
    지식 목적
    정의 목적
    전이 목적

    • 숙달도 목적: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언어 기술, 즉 '구체적 언어 행위'에 도달하는 것이다.
    • 지식 목적: 언어 지식과 문화 지식에 통달하는 것이다. 
      -그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에까지 접근하는 것이다.
    • 정의 목적: 목표어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감정, 자신감을 갖는 것이다.
    • 전이 목적: 학습 방법을 터득함으로써 미래에 새로운 내용을 학습할 때 그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21세기 외국어 교육의 국가기준 1999'(USA standard)에서 제시한 5Cs의사소통 Communication
    1. 문화 Cultures
    2. 연계 Connections
    3. 비교 Comparisons
    4. 공동체 Communities

    1. 의사소통: 영어 외의 언어, 구어/문어로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소통 수단이다.

    2. 문화: 다른 문화를 이해하며 연구한 것을 표현할 수 있는 통로

    3. 연계: 다른 언어문화에 대한 지식의 연계 강화

    4. 비교 : 다른 언어문화의 대조 이해

    5. 공동체 : 다언어 문화공동체 행사에 적극 참여하고 평생 학습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주목할 만한 부분>

    • 문화, 연계, 비교, 공동체는 ====> 모두 문화와 관련을 맺는다. 사회 언어학적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 언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학습과 함께 문화 교육의 중요성 강조하고 있다.
    • 이러한 관점은 한국어 교육 과정의 구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한국도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성이 강조된다.

     

     


    2. 한국어 교육의 목적 및 목표

     

    1. 교육의 목적 및 목표 기술 방법

     

    ☞교육 목적

    •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목적을 서술할 수 있어야 한다.
    • 프로그램 이수 후 최종적으로 도달, 성취하게 될 사항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해야 한다.
    • 관찰 및 예측 가능한 (세세한) 도달 목표들을 제시하고  뒷받침하는 데 교육 목적이 기본 토대가 되어야 한다.
    • 영구 불변한 것으로 고착되어서는 안 되며 상황에 따라 가변적 변화를 가능해야 한다.

    ☞교육 목표

    • 교육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이것이 교육 목표가 된다.
    • 구체적 언급? 언어 교육 프로그램에서 도달하게 될 수준에 대한 특정의 지식, 행동, 기술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다.

     

     

    <교육 목표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Richards 1999

    행동 목표
    기술 목표
    내용 목표
    숙달도 목표

    • 행동 목표: 학습 후 도달할 구체적 수행 목표를 제시한다.
    • 기술 목표: 언어 4개 기능(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각 기능에서 수행할 수 있는 세부 기술 목표를 제시한다.
    • 내용 목표: 다양한 주제들을 제시한다. - 문화 내용이 보통 내용 주제에 속한다.
    • 숙달도 목표: 성취 목표 척도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예) 800개 단어를 사용할 수 있다. 

     

     

     

    2. 한국어 교육의 목적

     

    • 다양한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대학 진학, 취업 등)들 또한 늘고 있다. 

     

    일반 목적

    -일상생활에 필요한 한국어 이해 및 활용한다.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 한국의 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한다.

     

    -이를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게 한다.

    특수 목적

    업무 수행 능력 중심 학문 수행 능력 중심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의사소통 가능

    -업무 수행 가능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댜앙한 맥락의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대학 학업 상황에 적합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른다.

    - 학업 능력 배양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교수나 동료, 행정 담당자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 학업을 진행하며 올바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3.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의 등급별 총괄 목표
    -일반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형

    목표는...

    • 등급별, 어휘별, 문법 별, 기능별, 주제별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 최대한 세분화, 구체화되어 제시되어야 한다.

    *강조되는 포인트를 유념해서 기억*

    초급 1급 초급2급

    -인사하기, 소개하기

    -일상적인 화제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요일, 시간, 장소 기본적인 화제로 구성.

    -구, 절 단위 혹은 짧은 문장 단위의 매우 간단한 문장들을 이해하고 쓸 수 있다.

    -생활이 중심이 되는 주변 사물과 장소 등과 관련된 어휘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자모의 음가, 한국어의 음절 구조, 한국어의 기본 문장의 억양을 원어민 화자가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발을 할 수 있다.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 슈퍼, 식당 등 일상적인 공공장소에서 자주 접하는 화제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우체국, 은행 등의 공공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뿐만 아니라 친교, 문제 해결 등의 특정 상황에 대한 대화를 듣고 이해할 수 있다.

    -일상적인 주제와 관련된 짧고 간단한 글을 읽고 쓸 수 있다.

    -복잡한 음운 변화를 이해하며 천천히 발화하면 비교적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중급3급 중급4급

    -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별 어려움 없이 의사소통할 수 있다.

    -자신의 관심 분야, 비교적 친숙한 사회적 소재에 대해 최소한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 결혼, 직업, 사랑

    - 친숙한 내용의 글을 읽고 간단하게 설명하는 글을 쓸 수 있다.

    - 빈도수가 높은 관용어를 이해할 수 있다.

    -복잡한 음운 변화를 이해할 수 있다.

    -단어 경계를 넘어선 단위에서 음운 변동 규칙을 스스로 적용하여 개별 음운을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반영된 전통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나이, 성, 지위 등 특수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 등을 이해할 수 있다.

    -(의사소통/ 행동) 공적인 맥락, 상황에서 의사소통 할 수 있다.

    -(주제)직장 생활 등 기본적인 사회적 관계에 필요한 과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어휘)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친숙하지 않은 어휘를 사용할 수 있다.

    -빈도수가 높은 관용어, 사자성어, 속담들을 사용할 수 있다.

    -(발음) 음운 변동을 능숙하게 적용하여 원어민도 쉽게 알아들을 수 있다.

    -발음과 억양을 구사할 수 있다.

    -(문화) 공적이고 격식적인 한국문화를 이해 할 수 있다.

    -대중문화를 이해하고 즐길 수 있다.

     

    고급5급 고급6급

    -(주제)정치, 경제, 사회 등 사회적 소재를 중심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다.

    -자신의 전문분야에서의 연구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다.

    -(어휘) 사자성어, 속담, 시사용어,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자주 쓰이는 어휘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문법의 미묘한 의미 차이를 이해하고 비교적 유창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음) 억양에 나타난 의미 차이를 파악하여 발화 상황에 맞게 어조를 바꾸어 말할 수 있다.

    -(문화) 한국 문화 속에 반영된 한국인의 가치관과 사고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 문화와 자국의 문화를 비교하여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 과정에서는 6급이 마지막으로 간주된다.

    -사회적, 추상적 주제를 다루는 의사소통에 참여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자신의 전문 분야나 친숙하지 않은 사회적 소재들로 이루어진 글이나 발표, 토론, 대담 등을 이해할 수 있다.

    -예시, 비유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폭넓고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글을 쓸 수 있다.

    -어려운 사자성어, 속담, 사회적 주제와 관련된 대부분의 어휘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한국 대표적인 방언으르 듣고 이해할 수 있다.

    -대부분의 문법을 맥락과 상황에 따라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취문화, 제도문화, 생활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문화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고급7급

    - 통번역이 가능하다.

    -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폭넓은 주제에 대해 분명하고 상세하게 의사표현을 할 수 있다.

    -의견 조율, 협상 등의 다소 복잡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발표, 토론, 업무 보고서, 사업 계획서 등 자신의 전문 분야와 관련된 학술 활동과 업무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거의 오류 없이 대부분의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

    -어감 차이를 고려하여 맥락에 맞는 적절한 어휘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매우 제한적인 경우를 제외, 원어민에 가까운 발음과 억양을 구사할 수 있다.

    -한국의 경제, 문화, 과학, 교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논의와 성취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3. 언어 교육 목표의 설정과 비판

    :교육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에는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 목표는 교수 teaching를 기술 technology로 바꾼다/ 전락시킨다.
      - 교육과정이 최종 목적을 상실하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효율성만이 강조될 수 있다.
      - 예) 단어 100개 암기라는 목표가 있다면 이 단어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 '암기'가 더 중요해져 버리는 부작용이 생긴다.- 결과 지향적 효율성만 강조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 목표는 교수를 폄하하며 결과 지향적이다.
      -학생 수준을 목표에 도달하게끔 하는 교수만은 최선의 교수로 인정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목표는 언어 사용의 다양한 측면에 적합하지 않다.
      - '언어 기술의 숙달'을 설명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비판적 사고' , '의미의 형상', '문화적 이해'등을 목표가 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출처 : 이 과목의 모든 내용은 안용준 교수님의 강의 내용과 교안의 내용을 필사 및 재구성한 것임을 알립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