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한국어 단어의 의미관계 (동음어)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2020. 2. 11. 20:13
1. 동음어의 개념 :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단어 #말(동물)- (언어)눈 #공을 차다- 기저귀를 차다 2. 동음어의 유형 인체의 고개와 언덕의 고개가 전혀 다르다면 고개1.고개2. 다의어라면 고개1.인체 2.지형 =>표제어 1개 뜻풀이2개. 동음어, 표제어가 각각 하나씩 1.동음동철이의어 때(시간)- 때(피부각질) 비(하늘)-비(빗자루) 2. 동음이철이의어 입-잎 [입] 학문-항문 [항문] 너머-넘어[너머] 3. 이음동철이의어 눈(신체)-눈(날씨) 티어(눈물)-테어(찢다) 3.동음어와 다의어의 식별 다의어: 어원의 동질성 동의어 :원래 다른 단어, 우연히 소리가 같음 #배(선박)- 배(과일) :동음어 #다리(신체)-다리(건축물) : 동음어 - 어원이 다름 #고개(신체) 어원- 신체에서 나옴 -고개..
-
한글의 우수성: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체계언어학개론 2020. 2. 11. 18:28
* 훈민정음제자 원리에는 음양오행이나 삼재의 원리 등 중국 성리학의 이론이 반영 되었다.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및 자모체계를 현대음성학적 측면에서 고려하고, 창제자 및 창제시기가 분명하다는 것 이외에도 음절 구조에 대한 인식등을 보면 그 과학성과 독창성에 대해 알 수 있다. 1. 훈민정음 기본 자모 수: 자음17+모음11=28자 2. 자음의 기본자=ㄱㄴㅁㅅㅇ 이고 ㅂ은 가획자에 해당 3. 전청-평음, 차청-격음, 설축-후설,구장-평순 1.훈민정음 자음의 제자 원리 #발음기관 상형의 원리 ->기본자 설정 아음 ㄱ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꼴 설음 ㄴ 혀 윗잇몸에 붙는 꼴 순음 입의 꼴 치음 ㅅ 이의 꼴 후음 ㅇ 목구멍의 꼴 훈민정음의 과학성 : 현대 음성학에서 자음 분류의 핵심적 기준: 조음위치, 조음방법,..
-
어휘와 쓰기 능력한국어어휘교육론 2020. 2. 11. 16:28
1. 쓰기를 통한 어휘 지식의 생산적 사용 - 학문 목적 학습자의 쓰기 평가: 일반적 어휘 + 전문적 어휘를 정확하게 사용. -어휘 지식의 확장은 쉬움, 어휘의 생산적 사용으로의 전이는 쉽지 않음. 쓰기에서 오류의 대부분 => 어휘 실수 어휘 지식을 실제적인 사용으로 이끄는 격려와 적절한 활동 부족에 기인 2. 생산적 어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인 의미만 아는 것 = 수용적 지식 수용적 지식+학습(정확한 형태, 사용) = 생산적 지식 -심리적인 면 단어 사용 욕구 +기회가 생겨야 함 교사- 기회를 주는 것에 초점. *단어를 알더라도 그 단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바람과 기회가 생기지 않는다면 동기화되지 않은 어휘로 남음 2.쓰기에서의 어휘 교육 1. 베껴 쓰기 2. 바꿔 쓰기 3. 번역-모어 번역..
-
의미란 무엇인가? 그 유형은?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2020. 2. 3. 13:25
1. 지시설 1:1로 가리키는 것 형용사류 , 동사류, 추상명사 - 낱말이 지칭하는 사물을 볼 수 없는 경우 묻다, 찾다 잊다 지시물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의미는 허상 도깨비, 천마, 용 지시물은 하나, 그것을 나타내는 언어표현이 둘 이상일 경우, 의미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설명할 수 없게 됨 샛별, 개밥바라기 =금성(venus) 샛별과 개밥바라기는 동일한 지시체이지만 샛별과 개밥바라기가 가지는 의미는 각각 다름 2. 개념설 언어와 사고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전제 #소쉬르 기호이론 -언어기호: 개념+청각영상 (사물과 명칭의 결합이 아님) 시니피에 (개념) 기의 + 시니피앙(청각영상)기표 #오그덴과 리차즈의 의미의 기본 삼각형 상징=기표 (symbol) 지시물(referent) 사고, 개념..
-
훈민정음언어학개론 2020. 2. 3. 12:08
#훈민정음 이전 1. 최초의 한자차용표기법 : 고유명사 표기 =고유명사는 그것이 표상하고 있는 개념보다 음성 표상이 보다 중요성을 가지기 떄문에 한자가 한국화 되는 최초의 단계로 파악됨. 2.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비교적 오래 폭넓게 사용된 차자표기법: 이두 -향찰은 주로 신라시대에 사용되었고 구결은 주로 조선조 초기의 문헌에 많이 나타난데 반해, 이두는 오랜 세월동안 폭넓게 사용 됨 3. 차자표기법은 한자를 빌어 우리말을 기록하던 표기법 - 고유명사표기, 이두, 구결, 향찰 표기 4. 구결: 한문 원문에 국어의 조사와 어미만을 표기, 5. 향찰: 문장 전체를 우리말로 표기한 것 6.이두: 대체로 구결과 향찰의 중간 형태 #훈민정음 = 한글의 옛 명칭 훈민정음 창제는 1443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반..
-
읽기와 어휘한국어어휘교육론 2020. 2. 3. 01:44
#Hu and Nation 2000의 실험 : 독서를 즐기기 위해서는 텍스트의98% 정도를 알아야 함. #Carver,1994 : 어휘 확장 목적 읽기- 자신 수준보다 약간 어려운 자료를 읽어야 함. #다양한 읽기 목적에 맞추어 읽기 자료 제공 #어휘 수준에 맞는 읽기자료를 선택하는게 중요 인지or 주목 : 첫 부분에 주의를 끌기 위해 단어들 나열,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표시, 어휘 항목에 대해 주석 달기 이해 (재인) : 단어들을 제1 혹은 제2언어 동의어에 연결, 정의두개하기 또는 그림 등을 포함. 조작: 형태론적 분석 해석: 문맥으로부터 추측하기, 연어 구성과 동의어와 연결, 관련없는 단어 골라내기 산출(출력): #어휘 연습과 활동에 대한 분석: 활동의 학습 목표 학습을 돕는 심리학적 조건 학습이 ..
-
외국어공부 : 어휘와 듣기와의 관계한국어어휘교육론 2020. 2. 2. 20:57
#듣기는 제 2언어 학습에서 중요한 입력 - 입력에 대한 충분한 이해 - 제2언어 학습에서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 #학습자가 내용을 이해하고 문맥 추론 활용을 위해 입력 정보의 95% 정도를 알고 있어야 함 Nation,2001 #연음 관계 등이 있기 때문에 눈으로 보는 것과 듣기로의 입력은 조금 다름 #듣기 능력 향상이 목적인 듣기 지문 - 모르는 어휘 통제 해야 함. -어휘 통제 시 자료의 실제성의 떨어뜨릴 가능성 있음 -어휘 중심이 되어서는 안됨 -모르는 어휘가 나올 때라도 주의를 빼앗기지 않고 듣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해야 함 3. 듣기를 통한 어휘습득 #학습 조건 자료에 대한 흥미: 듣고 있는 내용에 흥미를 느껴야 함** -가장 중요 -이야기 시리즈 형식으로 제시..
-
9-2 어순대조2: 동사구 내부 어순대조언어학 2020. 2. 2. 01:25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 ~~ 본동사와 조동사의 어순과 밀접한 관련 떠나 버렸다의 버렸다: 행위가 완료됐다의 보조동사/조동사 VO OV [본동사와 조동사의 어순] 1.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과 밀접한 관련 -본동사+조동사=목적어+동사 OV언어 -조동사+본동사 =VO언어 2. 한국어: 먹어 보다, 떠나 버리다 일본어: 먹다 - 어 보다(보조동사) 중국어: 싶다 먹다 영어:I can eat it. 3. 아랍어: 동사 선행 유형VSO 조동사와 본동사가 함께 사용: 조동사+주어+본동사 [동사와 부사어] 1. 동사와 부사어(부사 포함)의 어순~~동사의 위치와 밀접한 관련 OV언어: 부사어+동사어 - 한국어: 빨리 와 VO언어: 동사+부사어 -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한국어: 그는 빨리 달린다. 일본어: 그는 빨리 ..